
Plasma Innovation
환경정책에 따른 대응전략
[지구 온실가스]
○ 지구 주된 온실가스로는 이산화탄소(CO2), 과불화탄소(PFCs), 육불화황(SF₆)
메탄(CH4) 등이며 이중 이산화탄소가 약 80%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
◆ 과불화탄소(PFCs)
자연계에는 존재하지 않으나 반도체 제작공정과 알루미늄 제련과정에서 발생하며
이산화탄소보다 6,500∼9,200배의 강력한 온실가스임

1. 온실가스배출량 감축 국제협약
○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2015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21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195개국이 채택한국제협약으로
○ 협약의 주요 내용은 산업화 이전 수준 대비 지구 평균온도가 1.5°C 이상 상승
하지 않도록 각국이 온실가스배출량을 단계적으로 감축하는 내용임

2. EU(유럽연합) 탆소 국경세 도입
■ 탄소 국경세란?
○ 탄소 국경조정제도(CBAM)는 EU(유럽연합)가 탄소 국경조정세를 징수하기 위해 만든 제도이며 유럽 기후 변화 정책 패키지 중 하나임
○ 탄소 국경세는 이산화탄소 배출규제가 느슨한 국가가 규제가 강한 국가에
상품, 서비스를 수출할 때 적용받는 무역 관세임
■ 적용 시기 및 부담 방법
○ 2023년에서 2025년까지 전환기를 거처 2026년부터 본격 도입 예정이며
전환기에는 수출기업이 탄소 배출량 보고 의무만 있고 2026년부터는
CBAM 인증서 구매 의무가 있음
○ 인증서는 역내로 제품 수입 시 생산과정에서 배출된 탄소량에 따라 배출권을
수입업자가 비용을 부담하는 것임. (탄소 배출량 1톤당 인증서 1매 구매)

본 특허 출원 기술을 이용한 실험 결과 아래 표와 같이 과불화탄소(PFCs)가
종래기술보다 향상된 98% 이상 저감 되는 획기적인 효과가 있음
3. (주)정명이 보유한 특허 기술의 저감 효과

○ 1대당 연간 탄소 국경세 절감 : 33,120톤 × 65 천원(50달러)/톤 = 2,152 백만 원
○ 특허제품의 1대당 가격이 2,500 백만 원으로 이는 탄소 국경세 절감액 1년분을
약간 상회하는 금액임을 고려할 때 경제성이 높음
○ 제품 설치 2년 후부터는 오버홀 (분해 수리)에 연간 특허제품 가격의 약 20%인
5억 원이 소요되므로 매년 탄소 국경세 21억 원 대비 16억 원 정도가 절감됨
4. 사업 전망
○ 앞으로 탄소 집약적 제품에 대한 탄소 국경세 부과 등 각종 국제적 제재를 통해
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전 세계적인 노력은 꾸준히 계속될 것으로 전망됨
○ 따라서 본 ㈜정명의 특허제품이 탄소 중립 정책에 획기적인 도움을 줄 수 있어 지구 생태계 보전 및 주거 환경개선은 물론 기업 발전을 위한 성장동력으로도 충분한 역할을 할 것으로 확신함